채용공고 올리기

김경민님을 응원해보세요!

지금 만족하고 있어요
분석적
학습 지향
커뮤니케이션
자기 주도적
리더십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김경민
직업
풀스택 프론트엔드 개발자
간단 소개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를 꿈꾸는 2년차 풀스택 개발자입니다. 서비스 최적화 과정에서 사용자 경험의 핵심이 되는 프론트엔드 개발의 중요성과 매력에 알게되었습니다. 사용자 경험의 최적화에 깊이 있게 기여하고자 프론트엔드 전문성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3인 규모의 초기 스타트업에서 첫 번째 개발자로 합류해 웹/앱 서비스의 기획부터 개발, 배포, 운영까지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주도했습니다. Next.js 기반의 프론트엔드와 Spring 백엔드 시스템 구축 경험을 토대로 서비스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습니다. SSR과 서버 컴포넌트를 활용한 성능 최적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0에서 1을 만드는 과정의 핵심 개발자로서 모의 금융학습 앱 '마루랩'을 출시했습니다. 유일한 개발자로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적극적인 커뮤니티 소통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터득했으며 투명한 프로세스 수립과 진행 상황 공유로 비개발 팀원들과의 협업에 기여했습니다. '함께하기에 더욱 멀리 갈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열린 소통과 동반 성장을 추구합니다. 기술력과 리더십을 갖춘 개발자로서 스스로의 가치를 증명해가고 있습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nextjs, React, Spring, MySQL, Python, Redis, Docker, AWS, Flutter, querydsl

경력

회사명

토리에듀핀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사원 | 개발팀 | 재직 중

근무 기간

2024.01. ~ 재직 중 (1년 1개월)

담당 업무

마루랩

에듀핀(금융교육) 모바일 서비스 (https://front.marulab.app/)

  • Frontend: Next.js(page router), Typescript, React, React Query, Zustand, ContextAPI, TailwindCSS, emotion, Thymeleaf

  • Backend: Spring, JPA, MySQL, QueryDSL, Firebase, docker, Github Actions, Nginx, AWS EC2, AWS S3

  • Mobile: Flutter

3인 규모의 초기 스타트업, 유일한 개발자로서 서비스 전반의 기술 설계 및 개발 총괄

  •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부터 배포/운영까지 End-to-End 개발 프로세스 주도

  • 주도적인 기술 스택 선정 및 서비스 구조 의사결정 전담

  • 3주만에 4회의 MVP 개발을 진행, 신속한 서비스 검증 달성

    • 구현 요구사항에 맞는 필요한 기술 스택(Nest, Redis, Flutter) 단기간 학습과 적용 경험

금융 학습 (퀴즈/아티클)

  • 의도하지 않은 시나리오 대처

    • 앱 전환/강제종료 시나리오 대응을 위한 상태 복구 시스템 구현

      • localStorage 기반의 퀴즈 상태 저장 메커니즘 구축, 재접속 시 무결성 보장

      • React Query를 활용, 학습 횟수 제안 카운터와 서버 동기화 메커니즘 구축

  • 복잡한 상태 관리 최적화

    • 14개의 상태를 useReducer 패턴으로 리팩토링

    • 학습 데이터/학습 상태 로직 분리

      • localStorage를 활용한 학습 진행 상태 영속성 보장

      • 서버-클라이언트 간 학습 진도 동기화 로직 구현

  • 아이디어 수준의 제안을 구체적인 서비스로 설계 및 구현

    • 2일만에 MVP 구현 및 검증

    • OX, 객관식, 주관식 등 다양한 문제 유형 확장성 고려

    • 피드백 기반의 반복적인 기능 개선

  • Recharts.js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사용자 모의투자/학습 통계 대시보드 구현

    • useMemo를 이용한 메모이제이션 전략으로 차트 렌더링 지연시간 40% 감소

    • 기간별 데이터 필더링, 동적 차트 업데이트 구현

모의투자

  • 트레이딩 시스템 UX 설계 및 구현

    • 시장가/지정가 주문 입력 폼 및 유효성 검증 로직 구현

    • 시간외거래, 휴장일, 수수료 등 실제 금융시장의 특성 반영하고 엣지 케이스 대응

  • 대용량 실시간 데이터 처리

    • KOSCOM/Upbit API 연동 및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 구현

    • React Query의 캐싱 전략을 활용해 네트워크 부하 감소

관리자 페이지

  • Spring, Thymleaf 기반 웹 페이지 유지보수

  • 40여개 테이블 설계 및 사용자/학습/거래종목 관리 시스템 구축

  • 실시간 주가정보 업데이트 로직을 백엔드에서 분리하고 admin 페이지로 이전, thread 기반 병렬처리 구현

  • 사용자 정보(일간/주간/월간) 서비스 과부하 해결을 위해 MySQL 이벤트 프로시저 기반의 통계 데이터 자동화 시스템 구축

마루랩 서비스 기획 및 앱 출시

  • Mobile

    • Flutter를 이용해 웹뷰 형태의 하이브리드 앱 개발

    • 앱 등록 및 앱스토어(iOS/Android) 배포

  • Cloud & Infra

    • EC2 인스턴스 scale-up을 통한 Frontend 이미지 로딩 지연 문제 해결(t2 -> m2)

    • Docker 컨테이너화 및 EC2/NginX 기반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

회사명

주식회사좋은정보기술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사원 | 연구개발팀

근무 기간

2023.09. ~ 2023.12. (4개월)

담당 업무

ETRI 데이터 플랫폼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주관 데이터 플랫폼 사업 참여

  • Frontend: React, Redux, MaterialUI

  • 프론트엔드 레거시 성능 최적화

    • 레거시 코드 분석을 통해 병목 구간 파악 및 개선

    • 백엔드 로직 분리 및 프론트엔드 상태 관리 최적화로 로딩시간 86% 개선 (7초 -> 1초)

  • 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 구현

    • D3.js를 활용한 데이터 시작화 컴포넌트 개발

    • Kakao Maps API 및 커스텀 오버레이 구현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반복 학습 알고리즘 프로그램 구현

소속/기관명

토리에듀핀

프로젝트 기간

프로젝트 내용

Leitner 카드 학습

효과적인 반복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한 카드학습 (https://github.com/gmkim716/LeitnerLearn)

  • 기간: 업무 시간 외 5일동안 진행

  • Frontend: Next.js(App router, SSR & CSR), tailwindCSS

  • Backend: Spring, JWT, MySQL

마루랩 퀴즈 학습을 위한 사이드 프로젝트

  • 효과적인 퀴즈 문제의 반복 제시를 위한 아이디어 제시 및 구현 진행

  • Anki 앱을 벤치마킹하여 모의 시스템을 구현

  • 장기기억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Leitner System 이론을 구현하기 위한 테이블 설계 및 서비스 로직 구현

프로젝트명

똑똑한 티켓팅 서비스, 똑캣

소속/기관명

SSAFY

프로젝트 기간

2023.01. ~ 2023.03.

프로젝트 내용

똑캣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안전한 티켓팅 서비스 (https://github.com/gmkim716/Ttocket)

  • Backend: Spring, JPA, MySQL, AWS EC2, docker

  • Infra: Docker, Jenk

    ins, GitLab

6인(Frontend 3, Backend 3명)으로 구성된 팀의 6주 기간 프로젝트를 리드

암표거래 방지를 위한 티켓팅 플랫폼 구현, 블록체인 도메인 프로젝트 우수상 수상

Backend

  • Spring REST API 개발: 회원관리 / 공연정보 / 좌석예매

  • Swagger을 이용한 API 개발항목 전달

CI/CD 구축

  • AWS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

  • GitLab - Jenkins를 연결한 서비스 자동화 배포 파이프라인 설계

  • https 보안 설정

  • NginX를 이용한 컨테이너 연결

  • 도메인 설정

  • AWS EC2 서비스 업데이트

포트폴리오

URL

link

개발 포트폴리오 - 24년 12월

URL 링크

교육

소속/기관명

스파르타 코딩클럽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 항해 플러스 프론트엔드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4.12. ~ 현재 | 재학 중

소속/기관명

삼성 청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2.07. ~ 2023.06. | 졸업

소속/기관명

CSLEE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 공공빅데이터 청년인턴 양성과정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1.07. ~ 2021.08. | 졸업

소속/기관명

전북대학교

종류 | 전공

대학교(학사) | 경제학과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13.03. ~ 2020.08. | 졸업

자격증

자격증명

SQLD

점수 | 발급기관

pass

취득연월

2022.05.

자격증명

AWS Solutions Architecture - Associcate

점수 | 발급기관

Pass | AWS

취득연월

2023.08.

자격증명

OPIC

점수 | 발급기관

IH | ACTFL

취득연월

2021.09.

자격증명

TOEIC

점수 | 발급기관

895 | YBM

취득연월

2020.09.

자기소개

자기소개

서비스의 시작은 사용자 경험으로부터

  • 풀스택 개발자가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로 성장하고 싶은 이유

서비스의 생명은 사용자 경험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블로그 운영을 통해 이 깨달음을 얻게 되었습니다. 아무리 좋은 컨텐츠라도 독자(사용자)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지 못한다면 그저 창고 속 보물에 불과하단 것을 경험했습니다. 글 컨텐츠가 독자에게 공감을 얻기 위해서 궁금해하고 알고싶어하는 내용을 담아야 한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통찰을 기반으로 교내 앱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할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의 실제 니즈에 집중하고, 간결한 디자인을 제안해 접근성을 높인 방안이 채택되어 업데이트에 반영되었습니다. 제안했던 아이디어가 서비스로 구현되어 주변 친구들이 편리하게 사용하는 모습을 보며 서비스 개발이 삶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깨달았습니다.

개발자를 꿈꾸게 되면서 대학시절 목표했던 '삶을 개선하는 서비스 개발'을 이루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아무리 뛰어난 서버 로직과 DB 설계가 있더라도 사용자와 맞닿는 프론트엔드가 매력적이지 않다면 서비스는 빛을 발할 수 없을 것입니다. 풀스택 개발 경험을 통해 서비스 전체 구조를 이해하는 가운데,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사용자의 니즈와 프로그램 구현 사이에서 최적의 연결방식을 고민하는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Quick but Slow

  • 더 높은 생산성을 갖기 위한 나만의 전략

생산성을 높이는 작업방식과 지식관리를 추구합니다 'Quick but Slow' 전략을 통해 개발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 적절한 속도를 부여합니다. 구현 단계에서 AI를 활용해 빠른 구현을 추구하고, 사전 설계와 검토 단계에서 더 많은 시간을 들여 코드 품질을 높입니다.

AI 도구의 전략적 활용

Copilot, Cursor 등 AI를 활용해 기본적인 코드 작성을 효율화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확보된 시간은 핵심 로직 설계와 클린 코드 작성에 투자합니다. 특히 코드 리뷰 단계에서 의도적으로 속도를 늦춰 각 코드의 역할을 명확히 합니다. AI는 도구일 뿐, 프로그래머로서의 책임과 판단을 직접 수행한다는 원칙을 지킵니다.

체계적인 문서화

Notion을 활용해 프로젝트 진행 상황과 의사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유함으로써 팀 전체의 업무 효율성을 높입니다. 개인 학습 도구로는 Obsidian을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들을 기존 지식과 유기적으로 연결합니다. 이는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고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Git 사용의 보편적인 커밋 컨벤션을 준수하며, 각 작업의 목적과 변경사항이 명확히 드러나도록 커밋 메시지를 작성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