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궁금증으로 꿈을 현실로 만드는 망상쟁이, 김동욱입니다.
기술 스택
Java, Spring Boot, AWS, Spring, 객체지향, backend, GitHub, JPA, 클론코딩
프로젝트
노인 낙상 감지 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2024.08. ~ 2025.02.
본 프로젝트는 딥러닝과 오브젝트 디텍션 기법을 활용하여 노인의 낙상 위험 및 이상 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습니다. 초기 아이디어 단계에서부터 직접 시스템의 코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작성한 논문 초안을 교수님께 제출하여 피드백을 받은 후 보완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기존의 일반 객체 탐지 모델에서 안전가구(의자, 소파, 침대 등)를 보다 정밀하게 인식하기 위해 세그멘테이션 모델로 전환하였습니다. 테이블도 안전가구로 분류하여, 실내 환경 내 안전 영역을 보다 폭넓게 인지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YOLO 기반의 모델을 활용해 실시간 영상에서 사람을 감지하고, 객체의 이동 경로를 저장하여 안전가구와의 관계를 계산하였습니다.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SMS 알림 기능을 통해 담당자에게 신속하게 통보할 수 있도록 유료 SMS 전송 API를 활용한 알림 시스템을 추가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딥러닝과 실시간 영상 처리, 객체 추적, 그리고 안전 시스템 구축에 관한 전반적인 기술 역량을 강화하였습니다. 특히 정량적 평가 과정과 프로그램 개선 과정에서 문제 해결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에어비엔비 클론코딩
기타
2024.08. ~ 2024.12.
본 프로젝트는 자바와 스프링 부트를 기반으로 한 핀터레스트 클론 코딩 프로젝트로, 팀 단위로 진행되었습니다. 주요 목표는 실제 서비스 운영 환경을 고려한 백엔드 시스템 구축과 보안 강화에 중점을 두는 것이었습니다.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 구현: 스프링 시큐리티를 활용하여 안정적인 회원 인증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프론트엔드에서의 토큰 관리를 최소화함으로써 토큰과 개인정보 탈취 위험을 줄이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백엔드 주도권 강화를 위해 리프레시 토큰과 엑세스 토큰을 함께 사용하는 구조를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안과 사용자 인증의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였습니다.
초기 도메인 모델 작성 및 구현 범위 논의를 통해 전체 아키텍처 설계에 기여하였습니다.
개발 과정 중 발생한 CORS 문제를 해결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보안 통신 및 정책 설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팀 내 다른 구성원이 GCP를 활용하여 서버를 배포하고, 젠킨스를 통한 CI/CD 관리 체계를 운영한 경험을 공유하며, 운영 환경 전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습니다.
포트폴리오
URL
교육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대학교(학사) | 컴퓨터융합소프트웨어
2023.03. ~ 현재 | 재학 중
대외활동
컴퓨터 공학과 학생회
대덕대학교
2021
대덕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생회에서 학회장으로 활동하며 교수님과 학생 간의 활발한 소통과 교류를 지원했습니다. 학술제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등 교내의 중요 행사를 직접 기획하고 운영했으며, 컴퓨터공학과의 행정 업무와 각종 서류 관리 등의 사무적 업무도 함께 담당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소통 및 협력 능력을 키웠고, 책임감과 조직 관리 역량을 갖출 수 있었습니다.
외국어
영어
비즈니스 회화 가능
자기소개
저는 컴퓨터융합소프트웨어학과에서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과 연구 활동을 통해 백엔드 개발자로서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쌓아왔습니다. 열정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데이터 처리, 보안, 인증 및 시스템 운영 등 백엔드 개발의 핵심 분야에서 문제 해결 능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왔으며, 이를 통해 귀사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대학 졸업작품 출품에서 전체 2등 수상을 경험한 후, 교수님과 함께 딥러닝 기술과 오브젝트 디텍션 기법을 활용한 노인 낙상 감지 프로그램 논문을 게제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단순히 기능 구현에 그치지 않고, 모델의 사이즈 변화에 따른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데이터 기반의 문제 해결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국내외 논문과 자료를 심도 있게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 방향을 설정하며 교수님과 공동으로 논문을 작성한 경험은 저의 분석적 사고와 기술적 응용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실무 경험을 쌓기 위해 프로젝트 구인 사이트를 통해 참여한 핀터레스트 클론 프로젝트에서는 자바와 스프링 부트를 기반으로 회원가입 및 로그인 관리 기능을 담당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스프링 시큐리티를 활용하여 토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는데, 프론트엔드에서 토큰 관리를 최소화해 개인정보 및 토큰 탈취 위험을 줄이고, 백엔드 주도권 강화를 위해 리프레시 토큰과 엑세스 토큰을 함께 사용하는 구조를 도입하였습니다. 또한, 도메인 설계 초기 단계에서 팀원들과 함께 서비스 구현 범위를 논의하며 전체 아키텍처 구상에 기여하였고, CORS 문제 해결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보안 통신에 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비록 제가 직접 서버 운영을 맡지는 않았지만, GCP를 활용한 서버 구축과 젠킨스를 통한 CI/CD 관리 경험을 팀 내에서 공유하며 백엔드 개발 전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저의 연구 프로젝트와 실무 경험은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문제 해결과 협업, 그리고 끊임없는 학습을 통해 백엔드 개발자로서의 전문성을 쌓아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개발자가 될것이며 현재까지의 경험을 토대로, 저는 앞으로 클라우드 환경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을 통해 대규모 분산 시스템에서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고려한 백엔드 개발자로 성장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