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이서연님을 응원해보세요!

INFCON 참여
지금 만족하고 있어요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이서연
직업
두려워하지 않고 부딪히는 개발자
간단 소개

"한정된 리소스에서 최선의 설계와 개발을 추구하고, 자유롭고 능동적인 소통을 하는 개발자입니다."

경력

회사명

(주)코드프레소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웹개발팀

근무 기간

2021.09. ~ 2022.02. (6개월)

담당 업무
  • 웹 기반 동영상 편집 서비스에서 Image processing 로직 구현
    • 300회 이상의 테스트를 통해 얼굴 정보의 매핑과 모자이크 처리를 최적화 (Python, OpenCV)
    • 불규칙하게 영상 정보 응답이 오는 것을, Interpolation(보간법)을 통해 영상 개선
    • AWS SDK 연동 및 Python 스크립트 응답 값 반환 API 구현 (Spring Boot, AWS Rekognition)
  • 백오피스 강사-학생 QnA 조회 및 관리 프론트엔드 페이지 개발
    • 4일의 프레임워크 학습 후 개발에 투입, 4,000줄 가량의 기존 코드를 분석하고 이해하여 개발에 기여 (Vue.js, Typescript)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임베딩 벡터 유사도 기반 맛집 추천 서비스, 맛 스페이스

소속/기관명

크래프톤 정글 나만의 무기 프로젝트

프로젝트 기간

2024.02. ~ 2024.02.

프로젝트 내용

https://github.com/Moojuck-KJ3/backend-nest

  • 한꺼번에 식당 300개의 정보를 불러오는 요청을, Redis를 사용하여 4~5s가 걸리는 I/O 작업을 미리 수행하고 필요 시 GET 요청으로 빠르게 불러오게 하여 0.7s 수준으로 개선 (Redis, MongoDB)

  • 로컬 네트워크 밖에서 WebRTC 영상 통화가 불가능한 문제를 Turn server 구축을 통해 해결

  • 발화 문장을 연관 키워드로 반환해주는 API 요청 시, 너무 많은 요청으로 인해 일일 6회 이상 서버 다운 현상 발생, 이를 API Gateway Throttling으로 해결 (NestJS)

  • 임베딩 벡터 간 거리로 식당을 추천하는 Pipeline 구축을 위해 수많은 의사 결정을 하며, 기술적인 것 뿐 아니라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기 위한 설계 자체 또한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깨달은 계기가 됨

프로젝트명

느리게 편지를 보내주는 아날로그 통신 IOS APP, Ditto-letto

소속/기관명

IT 커뮤니티 연합 해커톤 '대상'

프로젝트 기간

2023.09. ~ 진행 중

프로젝트 내용

https://github.com/sylee6529/ditto-letto.git

  • 위도/경도 값으로 측정한 거리, 랜덤 운송 수단(가상)의 속도를 기반으로 Haversine 공식을 사용하여 총 시간 계산 구현 (Spring Boot, Docker, MySQL)

  • Spring batch로 도착 여부 필드 update 기능 개발

  • 트렌드에 맞고 유저의 반응성을 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며, 무박 3일 간 새로운 사람과 협업하며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었음

자기소개

자기소개

[1. 동료 개발자들로부터 성장 동기를 얻는 개발자]
개발을 처음 알고 시작하게 된 것은 전공이었지만, 개발을 재밌게 할 수 있게 한 것은 나만의 힘으로 동작하는 무언가를 만들어 내었다는 성취감이었습니다. 하지만, 개발을 지속적으로 하게 하는 동력은 부족했습니다. 그럼에도 개발을 계속하는 저 자신을 발견하였고 그 이유를 생각해 보니, 만났던 개발자와 소통하고, 배우고, 교류하며 다 함께 성장해 나가는 즐거움을 알아버렸기 때문이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도 다른 개발자에게 이런 동기를 줄 수 있는 사람으로서 성장하고, 좋은 영향을 주는 개발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하며, 열정적으로 개발에 임하고 있습니다.

[2. 근거 중심으로 의사 결정을 하는 개발자]
개발을 무작정 할 시절에는 '남들이 많이 사용하니까 좋겠지', '블로그에 이렇게 나와 있으니까 좋겠지'라고 해서 기술 도입을 하였고, 잘못된 선택으로 인한 안 좋은 결과를 도출했던 경험이 많았습니다.

이런 접근 방식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그때부터는 본질적인 것에 집중하기 위해 시작하였습니다. 내가 가진 리소스와 접한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은 무엇인지, 동작 과정과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잘 활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학습하고 이를 적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이후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훨씬 효율적이고, 비즈니스 로직에 훨씬 fit 한 기술과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현재에 안주하지 않는 개발자]
저는 제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것과 실무는 다르다고 생각하였을 때는 곧바로 인턴에 뛰어들었고, 다른 직군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고 여겼을 때는 앱 개발, 프론트엔드 개발을 도맡았습니다. 그렇게 시간을 들여 원하는 수준까지 동작하는 결과물을 만들 수는 있었지만,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개발 정체기를 겪었습니다.

그래서 크래프톤 정글을 계기로 프로젝트까지 마친 결과, 이전까지는 와닿지 않았던 아키텍쳐 이론과 디자인 패턴의 필요성과 효용성이 보이기 시작하였고, 더 보기 쉽게, 더 효율적인 코드는 무엇일지 능동적이고 즐겁게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한계를 넘어, 점점 영역을 넓혀가는 개발자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JavaScript, TypeScript, Spring Boot, Python, NestJS, MongoDB, Java, MySQL

포트폴리오

URL

link

블로그 주소

깃허브
link

GitHub 주소

깃허브
link

인턴 증명서

URL 링크

교육

소속/기관명

크래프톤 정글 3기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3.10. ~ 2024.02. | 졸업

소속/기관명

동덕여자대학교

종류 | 전공

대학교(학사) | 컴퓨터학과 (휴학)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현재 | 재학 중

자격증

자격증명

정보처리기사

점수 | 발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취득연월

2023.09.

자격증명

SQLD

점수 | 발급기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취득연월

2021.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