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김지민
직업
iOS 개발자
연락처
+82 01067709683
이메일
kjm9683212@gmail.com
주소
서울 서초구 반포동 733-3
간단 소개

안녕하세요. iOS 개발자 김지민입니다. 저는 개발의 최우선 가치를 사용자 경험에 두고 있습니다. 기능하나하나가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할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낍니다. 이를 위해 사용자 피드백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불편하거나 반복적인 작업은 자동화해 업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기획 및 설계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해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Swift, SwiftUI, UIKit, combine, async-await

경력

회사명

쓰리알이노베이션주식회사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iOS 개발자 | 개발팀 | 재직 중

근무 기간

2024.07. ~ 재직 중 (1년 3개월)

담당 업무

포커스팡 iPad

선생님을 위한 오프라인 면대면 수업운영 서비스

[주요 업무]

  • 포커스팡 iPadOS 앱 개발

[수행역할 및 주요 성과]

  • WKWebView를 이용한 웹뷰 구현

    • WKScriptMessageHandler 및 evaluateJavaScript를 통해 웹과 양방향 통신

  • WebSocket을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실시간 통신 (Starscream, Socket.IO)

  • Broadcast Upload Extension을 이용한 화면캡쳐 (메모리 최적화: 50MB 이하 유지)

  • SFU기반 WebRTC(MediaSoup) + Multipeer Connectivity 연동

  • Safari Extension 및 FamilyControls 를 이용한 수업중 웹/앱 제어기능 구현

  • 2만대 이상의 초중고 디바이스 납품


닥터사이먼

주의집중, 학습과 마음 건강 케어 서비스

[주요 업무]

  • 닥터사이먼 센서데이터 수집

[수행역할 및 주요 성과]

  • 터치, 펜슬, 트랙패드 등 사용자 인터랙션 데이터 수집

  • 키보드 데이터 수집을 위한 Custom Keyboard 제작

    • 한글, 영어, 특수문자 입력데이터 수집


메일전송 서버

[수행역할 및 주요 성과]

  • NodeJS 및 Express 기반 메일전송 서버 제작

  • 계정발급 후 메일전송 프로세스 자동화

    • 기존 관리자 수동초기화 방식 -> 이메일 인증방식 변경

    • 최대 하루 이상 걸리던 요청 처리 시간 30초로 단축

회사명

아이엠랩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iOS 개발자 | 개발팀

근무 기간

2022.09. ~ 2024.03. (1년 7개월)

담당 업무

ZEPL / 2022.10 ~ 2024.03

비대면 재활치료 운동 프로그램 앱

[주요 업무]

  • ZEPL iOS 앱 신규개발

    • 프로젝트 시작부터 릴리즈 8회까지 전체 개발 참여

[수행역할 및 주요 성과]

  • AI 모델을 이용한 카메라로 사용자 pose 트래킹 및 운동인식 알고리즘 개발

    • MLKit을 이용한 모션인식 기능구현

    • 추론된 pose결과값 파싱해 실시간 포즈 UI 및 운동인식 구현

    • Instruments으로 메모리 사용량 분석 및 약 30%의 메모리 사용량 개선

    • 인식결과 튀는현상을 잡기위해 low-pass filter 적용

  • UI 80% 이상 SwiftUI로 개발

    • UI 개발속도 50%가량 향상

    • 기존 UIKit으로 제작된 UI같은경우 SwiftUI로 마이그레이션

    • UIKit 으로 제작된 UI는 SnapKit 사용

  • MVVM 패턴 적용

    • view와 로직이 분리돼 UI 수정 및 기능추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었음

  • 1:1 채팅기능 및 FAQ기능 설계 및 개발

  • WKWebView를 이용한 웹뷰 구현

    • WKScriptMessageHandler를 통해 웹과 통신

  • Async/Await 을 사용한 비동기 코드 작성

    • closure 방식에 비해 가독성 증가

  • GA4를 사용한 앱 사용성 트래킹

  • 명지병원 임상실험 진행 및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요구사항 반영


CPR add-on kit Instructor / 2024.03

CPR 교육 강사용 앱

[주요 업무]

  • CPR 결과공유 PDF 페이지 제작

[수행역할 및 주요 성과]

  • CPR 결과공유 PDF 페이지 제작

    • 여러가지 형태의 차트, 그래프, 표 UI 개발

    • Localization(언어) 대응

  • GA4를 사용한 앱 사용성 트래킹

  • 기타 버그사항 수정 및 기획변경내용 반영


AIMCare / 2022.09 ~ 2022.10

비대면 의료진료 서비스 앱

[주요 업무]

  • AIMCare iOS 환자, 의사용 앱 기능개발

[수행역할 및 주요 성과]

  • storyboard 및 코드베이스 AutoLayout 구현

  • 원격진료 문진표 작성 및 진료기록 구현

  • 커스텀 카메라 UI

    • video trim 기능 구현

    • 이미지 크롭기능 구현

  • rPPG 를 이용한 심박수 측정기능 구현

    • MLKit을 활용한 얼굴 인식 및 측정부위 자동 감지

  • 2022 규제자유특구 챌린지 최우수상 수상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그날 그시간

소속/기관명

개인

프로젝트 기간

2022.08. ~ 2022.09.

프로젝트 내용

시간단위로 일상을 기록하는 다이어리 앱

[주요 업무]

  • 그날 그시간 앱 기획 및 개발

[기술 스택]

  • Swift, UIKit, NoStoryboard, SnapKit, Combine, CoreDate

  • CloudKit, UICollectionViewCompositionalLayout, Calendar, SPM

[수행역할 및 주요 성과]

  • 앱스토어 앱 다운로드 횟수 3천회

  • CoreData를 사용한 로컬스토리지 CRUD 구현

    • 시간, 하루 기록 데이터 영구 저장 및 관리

  • CloudKit을 사용한 데이터 백업 및 동기화

    • 다중 기기 간 데이터 일관성 유지

  • SnapKit 및 UICollectionViewCompositionalLayout을 사용한 UI 작업

    • storyboard 및 UICollectionViewFlowLayout에 비해 UI작업속도 향상 및 가독성 증가

프로젝트 링크

앱스토어

프로젝트명

Marvel Characters

소속/기관명

개인

프로젝트 기간

2024.07. ~ 2024.07.

프로젝트 내용

마블 캐릭터 검색과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

[주요 업무]

  • Marvel Character 앱 개발 및 테스트

[수행역할 및 주요 성과]

  • 네트워크 통신을 통한 마블 캐릭터 받아오기

  • 받아온 마블 캐릭터 즐겨찾기 기능 (CoreData 사용)

  • Event-Driven 을 위한 반응형 프레임워크 제작

  • XCTest를 사용한 비즈니스로직 Unit Test

프로젝트 링크

개발문서

프로젝트명

Photos

소속/기관명

개인

프로젝트 기간

2024.07. ~ 2024.07.

프로젝트 내용

아이폰 사진앱 클론

[주요 업무]

  • 아이폰 사진앱 클론코딩

[수행역할 및 주요 성과]

  • 보관함

    • 사진 선택, 및 삭제, 공유, 복사, 복제, 앨범에 추가 기능

  • 앨범

    • 앨범별 사진 모아보기 및 앨범추가 기능

  • 사진편집

    • 사진 필터, 조절 기능

  • 동영상 편집

    • 동영상 필터, 조절, trim 기능

프로젝트 링크

개발문서

프로젝트명

ConcertCrawler

소속/기관명

개인

프로젝트 기간

2025.06. ~ 2025.06.

프로젝트 내용

콘서트 정보 크롤러

[수행역할]

  • Selenium, BeautifulSoup 을 이용한 웹 스크래핑

    • 인터파크, 멜론 티켓 사이트의 콘서트 정보 스크래핑(공연명, 장소, 기간, 가격 등)

    • 동적 웹 페이지 제이 및 자동화(탭 클릭, 스크롤, 상세 페이지 이동 등)

  • 데이터 처리 및 로컬저장

    • Pandas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스크래핑한 데이터 Excel 파일로 저장 및 관리

  • API 서버 데이터 전송

    • 스크래핑한 데이터를 지정된 API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 및 업데이트

    • Excel 시트로 중복검사를 한 후 중복데이터 검사 및 업데이트

프로젝트명

추가 학습 및 관심 기술

소속/기관명

프로젝트 기간

프로젝트 내용
  • TCA, ReactorKit 같은 단방향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 주로 MVVM 아키텍처를 사용해왔으나 데이터 추적 어려움, 과도하게 커지는 ViewModel 와 같은 문제점을 겪으며 단방향 플로우 아키텍처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됐습니다

    • 아직 실제 프로젝트에서 UDF 아키텍처를 적용해본 경험은 없으나 구상중인 사이드프로젝트에서 사용해볼 계획입니다

  • Event-Driven

    • 개발을 처음 공부할때부터 객체간의 데이터 공유 및 비동기상황에서의 이벤트 핸들링 방법에 고민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Delegate, NotificationCenter, Combine, Swift Concurrency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왔으며, 각각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상황에 적용해왔습니다.

    • 특히 Combine 같은 반응형 프레임워크의 기본적인 기능을 직접 구현해본 경험이 있으며, 이를 통해 비동기 데이터 흐름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하게 됐습니다. 이러한 경험 덕분에 RxSwift를 사용하더라도 빠르게 적응할 자신이 있습니다

  • SwiftUI

    • SwiftUI는 확실히 UI 그리는 속도를 비약적으로 빠르게 해줍니다. 하지만 아직 UIKit 에 비해서 지원하는 기능이 적으며 UI가 복잡해질수록 직관성이 떨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UIKit, SwiftUI 를 같이 사용하는게 좋다고 생각했고 SwiftUI랑 UIKit 을 유기적으로 사용하는것에 대해 관심이 큽니다. SwiftUI도 결국은 UIKit을 추상화한 것이기 때문에 유연하게 합치는게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 일례로 TabView로 감싸져 있는 SwiftUI View 에서 HalfModal 을 사용해야 할 일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ZStack 을 이용해서 구현을 시도했으나 HalfModal 위에 Tab이 위치하는 문제가 존재했습니다. 그래서 View 를 extension 해서 UIKit 의 present(_:animated:completion:)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해결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 AI

    •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개발 패러다임이 변했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개발자의 역할인 기능을 명확한 로직으로 정의하고 구현 및 테스트등은 ai의 등장으로 더욱 효율적이고 빠르게 할 수 있게 됐습니다. 따라서 개발자의 역할도 단순히 기능개발만이 아닌 전략적인 의사결정, 아키텍쳐 설계에 더 많이 초점이 맞춰진다고 생각합니다.

    • 문제를 구조화하고 ai가 생성한 결과를 실제 서비스 및 코드 맥락에 맞게 설계하는 역량이 중요하다고 느꼈고 이러한 변화속에서 저는 ai를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설계 및 결정을 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URL

link

Portfolio

노션
link

GitHub

깃허브
link

BLOG

티스토리

교육

소속/기관명

인하공업전문대학교(휴학)

종류 | 전공

대학교(전문학사) | 전기공학과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1.03. ~ 현재 | 재학 중

자기소개

자기소개

iOS 개발자로서, 저는 사용자 경험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있습니다. 단순히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가 앱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개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개발 과정에서는 효율성과 협업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공용 UI 컴포넌트와 모듈화를 활용하며, 팀원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최적의 해결책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또한, 새로운 기술 도입이나 변경이 필요할 경우 PoC(Proof of Concept)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정보가 부족하더라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실현 가능한 솔루션을 빠르게 구축하는 것을 강점으로 생각합니다.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개발하, 핵심 기능을 우선적으로 구현하여 프로젝트의 진행 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업무를 수행합니다.

저는 끊임없이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컴퓨터 공학적 기반 지식과 최신 기술을 학습하며, 코드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고려한 개발을 지향합니다. 앞으로도 더 나은 iOS 앱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며,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개발자가 되겠습니다.